2023년 긴급복지는 위기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임시주택 공급을 지원합니다. 지원금액은 가구원 수와 거주 지역에 따라 달라져 3~4인 대도시 기준으로 66만2500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지원 기간은 최대 12개월까지 가능합니다.
2023 에너지바우처 냉방비, 난방비 지원금액, 신청자격, 신청방법
긴급가구를 대상으로 생계지원에 관한 내용도 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 목차 >
지원대상
지원내용
주거지원 한도액
신청방법
주의사항 및 안내사항
지원대상
위기상황으로 인한 임시거주나 주거비 조달에 필요하다고 판단이 된다면 지원대상에 속합니다. 그러나 모두가 해당이 되는 것이 아닌 소득과 재산 요건이 충족이 되어야만 합니다.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75%
2023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
청약이나 분양, 대출 등 진행하기 위해서는 소득기준이 존재합니다. 그 소득에는 중위소득과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 있는데요.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아래 글 확인해보시
njobhistory.tistory.com
◎재산기준(단위 :만원)
지역 | 대도시 | 중소도시 | 농어촌 |
기준금액 (주거용재산 공제한도액 적용시) |
24,100 (~31,000) | 15,200 (~19,400) | 13,000 (~16,500) |
◎금융재산기준 : 8백만 원 이하
지원내용
주거지원 한도는 신청인의 가구원 수와 거주지역에 따라 다르며, 위의 지원기준을 고려하여 유사한 수준의 임시거주시설을 제공합니다.
주거지원 한도액
구분 | 1~2인 | 3~4인 | 5~6인 |
대도시 | 398,900 | 662,500 | 874,100 |
중소도시 | 299,100 | 435,600 | 574,200 |
농어촌 | 189,000 | 250,500 | 330,000 |
가구구성원이 7인 이상일 경우에는 1인 증가할 때마다 대도시 105,800원, 중소도시 69,300원, 농어촌 39,800원씩 추가 지급됩니다.
- 대도시 : 특별시, 광역시의 '구'(도농복합 '군' 포함), 특례시
- 중소도시 : 도의 "시"와 세종특별자치시
- 농어촌 : 도의 "군"
◎지원 기간
- 12개월 (기준 1개월 + 조건 충족 시 2개월 연장 + 위기가 계속되면 9개월 내에서 추가 연장 가능)
◎지원 유형
- 임시거주지 상한액 내 실비 지원 / 예외적으로 임시거주지 제공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1회 재정지원만 지급
◎지원방법
- 선지원 후 후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 신청자의 신청이 있고나면 담당자는 총 72시간 이내에 제공될 수 있게 노력해야함. 즉, 지원 시기는 긴급 지원 책임자의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신청방법
방문신청으로 가능합니다. 거주지 읍, 면, 동 주민센터에 방문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가능자는 신청대상자 또는 신청자와 관계자(공무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신청서류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아래를 참고하시고, 신청대상자에 따라 요구되는 자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지원요청일을 기준으로 가구원의 보유계좌별 잔액증명서 또는 내역이 정리되어 있는 통장을 추가로 준비해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파일은 아래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 기본서류
- 현장확인서
- 긴급지원대상자 소득신고서 또는 소득·재산 신고서
- 금융정보 등 제공 동의서 (금융/신용/보험정보)
- 긴급지원수급계좌 입금 신청서
- 요구서류
주의사항 및 안내사항
1. 대상자가 위기상황이 심해진다면 중복 긴급복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2. 대상자의 지원금은 압류가 되지 않습니다.
3. 지원이 종료된 후 2년이 경과되었다면 동일한 위기상황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4. 다른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긴급지원이 종료된 날을 기준으로 3개월 이내 지원은 불가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2023년 사전청약 공공분양주택 입주자격 및 입주자 선정방식
LH는 6일부터 뉴:홈 사전청약 청약접수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동작구 수방사 사전청약이 떴죠? 관련 모집공고도 한 번 첨부드려볼게요. 뉴:홈의 청약은 개인별 상황과 여건에 맞는 주택을 선
njobhistory.tistory.com
2023 2차 청년 및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신청기간, 요건 총정리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해 임대주택을 제공합니다. 주거 준비가 어려운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주택을 매입하여 임대하는 형태인데요.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되는 상품
njobhistory.tistory.com
'블리의 생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출산전후 휴가급여,육아휴직급여 신청방법 (0) | 2023.07.12 |
---|---|
일본뇌염 모기 예방방법, 증상, 예방접종 지원 대상 (0) | 2023.07.12 |
2023 2차 청년 및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신청기간, 요건 총정리 (0) | 2023.07.06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총정리 (0) | 2023.06.16 |
2023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 (0) | 2023.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