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리의 생활지식

2023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

by 부자가되고픈블리 2023. 6. 11.

청약이나 분양, 대출 등 진행하기 위해서는 소득기준이 존재합니다. 그 소득에는 중위소득과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 있는데요.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아래 글 확인해보시고 이번 글에서는 중위소득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조회, 계산방법

< 목차 >

1. 기준 중위소득이란?
2. 2023년 중위소득
3. 중위소득 확인방법
4. 2022년 중위소득

중위소득 조회방법
중위소득 조회방법


중위소득

 

중위소득이란 것은 가구 전체의 소득을 순서대로 늘어놓은 뒤 중간 순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중간정도의 소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023년 중위소득

 

저소득층의 지원을 더욱 강화해주기 위해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을 4인 가구 기준으로 5.47% 인상하였습니다.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8,107,515

위 기준에서 8인 이상 가구부터는 1인이 증가할 때마다 87만 원씩 더해주면 됩니다. 정확히는 7인가구 금액인 8,107,515원 - 6인가구 7,227,981원을 계산하면 879,534원입니다. 7인가구 금액에서 879,534원씩 더해주면 되는 것이죠.

 

 


중위소득 확인방법

 

☞나의 소득인정금액 및 중위소득 조회하기

 

먼저, 소득인정금액을 알아야 하는데요. 하지만, 매해마다 보건복지부에서 고시를 해주기 때문에 얼마인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소득인정금액 = 소득평가액 + 재산 소득환산액

복지로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나의 소득인정금액이 얼마인지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복지로홈페이지] ▶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국민기초 생활보장]

 

 


2022년 중위소득

 

2022년도 2023년처럼 매해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해줍니다. 다음 표를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함께보면 좋은글▼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조회, 계산방법

청약이나 지원금 조건에 보시면 소득 100% 이하, 120% 이하 이런식으로 조건이 나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모르는 분들은 어떤 소득이 기준이 되는지, 어디서 조회를 해야하는지 막막하실텐데

njobhistory.tistory.com

 

 

2023년 사전청약 공공분양주택 입주자격 및 입주자 선정방식

LH는 6일부터 뉴:홈 사전청약 청약접수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동작구 수방사 사전청약이 떴죠? 관련 모집공고도 한 번 첨부드려볼게요. 뉴:홈의 청약은 개인별 상황과 여건에 맞는 주택을 선

njobhistory.tistory.com

 

댓글